1. 문제 제기
    아..거의 대부분 쓰이는 두 종류를 적고 나니 딱히 적고 싶은게 없네요;;
    오늘은 시중에 있는 감기약의 하나를 적어볼께요.
    아시는 분 계시려나... (저는 군에서 외부 구매 할 때처음 알았어요.)

    어느날 집에 와보니 그 약이 집에도 있더군요.
    어머니께서 하시는 말씀이 저 약을 먹으면 감기가 바로 낫는다... 라고 하시더군요.
    하지만 이 말은 틀렸습니다. 그 이유를 말씀드리죠.

2. 원인 설명
    바로 다 나은 것처럼 보이는 이유는 성분 중 하나 때문입니다.
    이 시럽은 복합 감기약으로 여러가지 진해제, 비충혈 제거제 등이 들어가는데
    그 중 한가지가 브롬화수소산 덱스트로메토르판 (Dextromethorphan Hydrobromide) 입니다.

    이 성분은 2002년 경인가 (정확치 않지만 몇 년 됐습니다)
    향정신성 의약품 (향정) 으로 분류된 약으로 (군대에서는 그런데, 밖에서도 향정이겠죠?)
    기침억제제 입니다.

    보통 진해거담제의 경우는 기침의 주요한 원인인 가래를 묽게 하거나
    많이 배출 되게하는 원리로 가래를 없애는게 아니라 내보내게 됩니다.
    하지만 이 덱스트로메토르판은 기침 중추 신경에 작용하여 원인과 상관없이 기침 자체를 하지 않게 합니다.

3. 위험성
    겉으로 보면 바로 다 나은 것 처럼 보이겠죠.
    그래서 기침을 하면 많이들 먹게 되는데 이는 위험한 행동입니다.
    감기가 확실하다면 크게 상관은 없겠지만,
    폐렴 등의 다른 원인으로 기침을 하게 된 경우 약을 먹고 발견을 못하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병을 더 키워서 몸을 망치고 잘 못 하면 목숨까지 잃을 수 있게되죠.

    향정신성의약품이니 많이 먹으면 또 어떻게 될지도 모르겠지요.

4. 결론, 대처법
    제 결론은 이 약은 피하라는 말입니다.
    시중에 쉽게 구할 수 있어 쉽게 먹을 수 있지만, 의사의 정확한 감기 진단이 있기 전에는 피하는 게 좋습니다.
    그리고 약, 특히 이런 약은 먹지 않는게 좋겠죠?
    정말 기침이 생활에 엄청난 불편을 초래하고 기침 때문에 더 피해가 크다면,
    그때는 생각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제 경우로 보자면 훈련소 1달 내내 잠을 자면서도 기침을 해서 깨게 되더군요.
    그 때 까지는 자면서 그런걸로 깰 수 있다는 걸 이해 못했습니다.
    제가 잠들면 워낙 잘 자거든요. 이 때도 저보다 주위 사람들이 먼저 다 깨는 민폐를... 군폐인가? ㅋ

    어쨋든 오늘도 주장하는 말, 약은 되도록 먹지맙시다! ㅋ
다들 아시는지 모르겠지만, 소화제 또한 소염진통제와 마찬가지로 어느 약에나 들어가죠.
소화불량에 쓰이는게 정석적이지만, 소염진통제를 보조하는 역할로도 쓰입니다.
소염진통제 종류가 위에 주는 부담은 어마어마하죠.
부작용으로 위장출혈이 있을정도니까요.
그래서 약의 소화를 돕기 위한 용도로 쓰입니다.
의사마다 다르기도 한데 소화제를 쓰는 분도 있고, 중성화 시킨다고 제산제를 쓰는 분도 있습니다.

소화제는 다들 아시겠지만, 제가 쓰던거 적어보겠습니다.


1. 아진탈 (Azintamide)
2. 베아제 (비오디스타제)
3. 베스타제
4. 판타제

소화제는 여러 소화효소들로 구성되어 성분명은 잘 기억이 나질 않는군요 ㅋ
아진탈, 베아제 같은 밖에서 널리 알려진 걸 많이 사용하더군요.
아픈데는 다른데 다 같은 약만 준다는 오해가 많죠.
오해가 아니라 사실이라고 봐도 되겠네요.
하지만 같은 약을 준다는게 잘못 된 처방은 아니죠.
다 그 이유가 있는 거에요.

소염진통제가 그 오해의 근원 격인 이유는 많은 상처들이 염증을 동반하기 때문이죠.
감기걸렸을 때 목이 부으면 편도에 염증이 생긴거죠.
손/발목이 삐었을 때도 염증이 생겨 부어오르고, 위/장염도 또한 마찬가지죠.
이런 경우들에 공통적으로 들어가는게 소염진통제 입니다.

다 똑같은 약만 준다, 돌팔이다 하는 소리때문에
같은 약도 좀 다른 종류로 바꿔쓰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의사가 개인이 선호하는 약을 주로 쓰게되죠.

이렇게 오해의 소지가 되는 소염진통제는 어떤 종류가 있을까요.

1. 이부프로펜 (Ibuprofen 400mg)
2. 아클론 (Aceclofenac 200mg)
3. 피록탐 (Piroxicam 10mg)
4. 메페남산 (Mefenamic acid 200mg)
5. 로딘 (Etodolac)

생각나는게 이거뿐이군요.
주로 사용하던데 이부프로펜입니다.
여러 오해 때문에 좋다고 생각하는 약 대신 다른약(다른 모양의) 약들을 사용하던 경우도 있었습니다.
사회에서는 훨씬 많은 종류의 약이 있고,
또 같은 종류도 제조사별 제형이 다르기 때문에 그런 오해가 훨씬 덜 하죠.

이 글로 조금이나마 오해가 줄었으면 좋겠군요.

시험 기간 그리고 노느라;; 늦었네요.
다음글도 또 언젠가 쓰겠습니다. 쿨럭.
그럼 모두 건강한 삶 되시길.

------------------------------------------------------------------------------------------
소염진통제의 부작용 추가 입니다.

약전을 보시면 더 자세하게 나와있지만 대표적인 거 몇가지만 적겠습니다.

일단 천식 환자는 복용을 하지 않아야 합니다.
아스피린, NSAID(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계열은 천식을 더 심하게 합니다.
또한, 위장출혈을 유발하므로 장기간(1주일 이상) 복용시 의사와의 상담이 필요 합니다.

뭐 이정도만 아시면 될거 같네요.
전 천식은 없는데 두번째 이유로 약을 꺼리게 되네요 ㅋ
즐거운 하루 되세요
의무병 출신으로 전역한지 한달이 조금 넘었군요.
지금은 생생한 기억이지만 언젠가는 잊혀질 기억, 생각을 조금씩 적어보려고 합니다.

흔히들 하는 말 있죠?
배아플 때 주는 약과 감기 걸렸을 때 주는 약이 같다고,
그리고 빨간약(포비돈)은 만병통치약이라는 말.

답은 틀렸습니다.
전 군의 의무 시설이 이렇지 않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제가 겪은 시설은 그렇지 않았고,
또한 저도 그렇게 하지 않았습니다.

제가 알고있는 약에 대한 지식과 생각들 조금씩 적어볼께요.
오늘은 여기까지!

+ Recent posts